반응형
⚙️ Airflow 설치
Airflow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가상환경을 세팅한다.
개인적으로 poetry가 편해 poetry를 사용했지만 venv를 사용해도 무방하다.
poetry add apache-airflow
🛢️ 데이터베이스 초기화
가상환경에서 apache-airflow를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init해준다.
airflow db init
🤠 Admin 계정 생성
- webserver에 접속하기 위한 테스트용 Admin 계정을 생성한다.
계정 생성 양식은 다음과 같다.
airflow users create \
--username admin \
--firstname FIRST_NAME \
--lastname LAST_NAME \
--role Admin \
--email admin@example.org
📡 Webserver
- webserver에 접속하여 airflow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기본적으로 airflow webserver는 로컬호스트의 8080포트를 사용한다.
airflow webserver
다음과 같이 webserver가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 터미널 내 다른 작업이 해당 포트를 점유하고 있을 수 있으니 다음의 방법으로 조치하자.
# 현재 실행중인 포트 확인
sudo lsof -PiTCP -sTCP:LISTEN
# 8080 포트에서 실행중인 작업 강제 종료
kill -9 $(lsof -i:8080 -t) 2> /dev/null
실행된 webserver의 모습
webserv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니 다음엔 DAG를 작성하여 직접 실행시켜보자.
반응형
'Airflo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irflow] 첫 DAG 만들기 (0) | 2024.08.29 |
---|---|
[Airflow] Airflow가 무엇인가? (0) | 2024.08.29 |